푸하하! 장어 먹으면 하루에 4번 하고도 또 하고 싶어진다고?
좁고 좁은 저 문으로 들어가는 길은
나를 깎고 잘라서 스스로 작아지는 것뿐
이젠 버릴 것조차 거의 남은 게 없는데
문득 거울을 보니 자존심 하나가 남았네
(중략)
저 강들이 모여드는 곳 성난 파도 아래 깊이
한 번만이라도 이를 수 있다면 나 언젠가
심장이 터질 때까지 흐느껴 울고 웃으며
긴 여행을 끝내리 미련 없이
아무도 내게 말해주지 않는
정말로 내가 누군지 알기 위해
–가수 신해철의 ‘민물장어의 꿈’에서
1
민물장어(우나기)는 ‘장어의 황제’다. 길이는 약 70cm. 민물에서 5~12년 정도 살다가 때가 되면 멀리 필리핀 앞바다 수심 2000~3000m 깊은 곳에 알을 낳고 죽는다. 알은 실뱀장어가 되어 부모가 원래 살던 강으로 다시 거슬러 올라온다.
2
하지만 이제 실뱀장어는 더 이상 강을 오를 수 없다. 태평양을 헤엄쳐 오느라 지쳐서 그럴까? 아니다. 인간들 때문이다. 사람들은 강 하구에 촘촘한 그물을 치고 기다린다. 그리고 실뱀장어들을 남김없이 잡아다가 양식장에 판다. 실뱀장어는 양식장에서 양계장 닭처럼 사료와 항생제로 사육된다. 요즘은 국내산이 모자라 상당부분을 중국에서 실뱀장어를 사온다. 1㎏에 2000만원이 넘을 정도로 금값이다.
3
2010년 일본은 세계 최초 인공수정으로 실뱀장어 생산에 성공했다. 이어 그 실뱀장어가 어미가 되어 다시 새끼를 부화하는 데까지 이르렀다. 한국도 2016년 세계 두 번째로 일본을 따라잡았다. 하지만 일본이나 한국이나 아직 대량양식엔 미치지 못하고 있다. 갈 길이 멀다.
4
장어는 힘이 세다. 장어를 먹은 사람도 힘이 세다. 고단백식품이다. 장어(長魚)는 길다. 장어는 꿈틀거린다. 장어는 꿈을 꾼다. 장어는 거슬러 오른다. 장어는 잠시도 머물지 않는다. 장어는 좁고 좁은 문으로 쉬지 않고 간다. 한국인들은 장어를 좋아한다. 일본인들도 그렇다. 장어는 한국과 일본에서 복달임으로 몇 손가락 안에 꼽힌다. 오죽하면 뱀장어의 영어이름이 ‘재패니즈 일(japanese eel)’일까.
5
장어는 한자로 ‘만(鰻)’이다. 고기 어(魚)+날 일(日)+넉 사(四)+또 우(又)를 종합한 글자다. 말 짓기 좋아하는 구라꾼들이 옳거니! 무릎을 탁 치며 말한다. “남자가 장어를 먹으면 하루에 섹스를 네 번하고도, 또 하고 싶어진다. 그래서 까마득한 옛날, 중국에서 그렇게 한자가 만들어진 것이다.” 흐흐흐 과연 그럴까. 모르겠다. 그건 받아들이는 사람의 몫이다.
6
장어에는 민물장어(우나기)와 바다에서 잡히는 먹장어(꼼장어) 붕장어(아나고) 갯장어(누타우나기)가 있다. 한국인들은 민물장어나 꼼장어, 갯장어는 주로 구워먹고, 붕장어는 회로 즐겨 먹는다. 일본인들은 민물장어든 붕장어든 거의 구워 먹는다. 붕장어의 뼈 때문에 회로 먹는 걸 꺼린다. 갯장어도 역시 뼈가 억세어서 그런지 잘 안 먹는다. 일본인들은 참치처럼 부드러운 회를 좋아한다.
7
뱀장어는 풍천에서 잘 자란다. 풍천은 민물과 바닷물이 만나는 강 하구를 말한다. 한자로는 ‘물이 풍부한’ 풍천(豊川), 혹은 ‘바닷물과 바람을 몰고 오는 풍천(風川)’을 뜻한다. 풍천은 특정지방의 지명이 아닌 것이다. 민물과 바닷물이 만나는 강 하구는 어디나 풍천이다. 그곳엔 먹이가 풍부하고, 뱀장어가 살 수 있는 갯벌이 찰지다.
8
물론 전북고창에선 서해 줄포만으로 흘러 드는 인천강 하구만이 ‘우리나라 유일의 풍천’이라고 주장한다. 인천강은 바닷물과 민물이 만나는 구간이 10㎞가 넘을 정도로 길긴 길다. 그만큼 민물장어가 자랄 환경이 좋다는 이야기다. 하지만 요즘 우리가 먹는 민물장어 중에 자연산이 어디 있는가. 대한민국 어느 음식점에서 먹든 대부분 양식장어 아닌가. 고창의 풍천장어집이나 서울의 풍천장어집이나 ‘도긴개긴’ 양식장어인 것은 마찬가지다. ‘풍천장어 논쟁’이 무의미하다는 뜻이다.
9
그러거나 말거나 민물장어음식점은 대부분 풍천 부근에 모여 있다. 전북고창선운사 입구의 인천강 같은 곳이 바로 그렇다. 부근에 신덕식당(063-562-1533)과 연기식당(063-561-3815)이 장어구이집으로 이름났다. 진주남강의 유정장어(055-746-9235)집도 발길이 붐빈다. 한강 임진강 예성강이 만나는 김포강화(강화대교 아래쪽)의 별미정숯불장어(032-932-1371)집도 있다.
임자도 민어아리랑① (0) | 2017.10.17 |
---|---|
장어야, 장어야, 고단백 장어야② (0) | 2017.10.17 |
대한민국 대표 진수성찬, 남도 한정식 (0) | 2017.10.17 |
[로컬푸드 기행] 완주군 농산물을 이용한 건강 요리 (0) | 2017.10.15 |
전통 발효음식의 세계 (1) | 2017.1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