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허실실;虛虛實實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허허실실;虛虛實實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 구글검색
  • 분류 전체보기 (155)
    • 이슈 (9)
    • 머니머니 (8)
    • 맛있는 레시피 (16)
    • 푸드스토리 (20)
    • 인물기행 (2)
    • 세계 기행 (6)
    • 문화기행 (2)
    • 지나간 것은 역사 (79)
    • 바둑이야기 (8)

검색 레이어

허허실실;虛虛實實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바둑이야기

  • 아인슈타인,빌게이츠와 바둑

    2017.10.10 by kkabiii

  • 바둑과 국가 지도자

    2017.10.10 by kkabiii

  • 바둑 두면 노인 건강에 도움 돼요

    2017.10.10 by kkabiii

  • 대세로 떠오른 ‘바둑’ 건강하게 즐기려면

    2017.10.10 by kkabiii

  • 바둑의 고향을 여행하다. (1)

    2017.10.10 by kkabiii

  • 멀수록 강해진다

    2017.10.10 by kkabiii

  • 바둑과 건강

    2017.10.10 by kkabiii

  • 바둑의 성격에 관한 고찰1

    2017.10.10 by kkabiii

아인슈타인,빌게이츠와 바둑

인류 역사상 '최고의 과학자'로 알려진 아인슈타인(Albert Einstein)은 프린스톤 대학에 있을 적에 일본인 과학자에게서 바둑을 배웠다. 노벨상을 수상한 '존 내쉬'의 일생을 다룬 'A Beautiful Mind' 라는 책에서는 아인슈타인 박사가 일본기원으로부터 명예 초단 면허를 받았다는 사실이 언급되어 있다. 바둑에서 일어나는 경우의 수 = 365i = 1.4*10 이라고 한다 쉽게 이야기 하면, 빛은 `1초에 30만km를 가는데 10조년 동안 빛이 가야 할 만큼의 각각 가로,세로,높이의 길이를 가진 그룻에 모래알을 담아야 그 모래알의 갯수가 바둑 99수둔 경우의 수와 비슷하다고 한다. 아인슈타인으 뇌세포 사용률은 일반인들의 5~8%에 비해 두 배 정도라고 한느데, 과연 바둑을 즐겼던 이유를 짐..

바둑이야기 2017. 10. 10. 16:39

바둑과 국가 지도자

(조남철 회고록 발췌)#1 경무대 대국1955년 2월 4일 경무대(현 청와대)에 나(조남철)와 김봉선 초단이 초대받았다. 한국기원 초대 이사장이자 집권 자유당 중진이었던 장경근씨가 주선했다. 백발에 보일락말락 미소를 띠며 팔자걸음으로 다가온 이승만 대통령은 ”아, 자네들이 바둑을 잘 둔다고. 어디 한 판 구경 좀 시켜주게“라며 자리를 잡았다.1시간 여 만에 바둑을 끝낸 순간, 이 대통령이 물었다.“그런데 자네들 왜 하필 ‘왜놈바둑‘을 두는 거지?” 당황스러웠지만 내가 침착하게 설명을 드렸다. 대통령은 ”응. 그렇다면 어디 우리 순장바둑을 한 번 두어보게“했다.대국을 관전하면서 대통령은 ”나 같으면 이렇게 두겠다. 그게 바로 도남에 의재북이거든“이라며 흥겨워했다. 꼬박 3시간이 넘어가자 노(老) 대통령의 ..

바둑이야기 2017. 10. 10. 16:34

바둑 두면 노인 건강에 도움 돼요

“바둑 두면 노인 건강에 도움 돼요” 일본서 노년학 전공 이수정씨 논문 바둑이 고령자의 건강에 유익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명지대 바둑학과를 졸업한 뒤 도쿄 오비린 대학교에서 노년학(Gerontology)을 전공한 이수정씨는 ‘바둑이 고령자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이란 석사논문에서 바둑을 두는 노인들이 일반 노인들보다 정신 건강과 심신 건강이 양호하다는 조사 결과를 내놓았다. 단 승부에 집착하거나 주 15시간 이상 바둑에 몰입하는 사람은 일반인보다 건강 수치가 낮게 나왔다. 바둑은 노인들이 편하게 교류하면서 값싸게 즐길 수 있는 레저다. 고령화 사회에 진입한 한국에서 최근 은퇴한 동문들의 바둑 모임이 부쩍 늘어나고 있는 것도 바둑이 힘 안 들고 돈 안 들면서 친구와 편하게 어울릴 수 있는 레저이고 치매 ..

바둑이야기 2017. 10. 10. 16:22

대세로 떠오른 ‘바둑’ 건강하게 즐기려면

이세돌 9단과 인공지능 알파고(AlphaGo)가 펼친 세기의 대결이 전 세계의 관심 속에 마무리됐다. 이번 대국으로 인해 바둑을 전혀 모르던 사람도 흥미를 갖게 됐을 정도로 열풍이 거세졌다. 특히 취미삼아 바둑을 두려는 사람들이 늘고 있는데 보다 건강하게 취미활동을 즐기기 위해서는 몇 가지 주의가 필요하다. 대부분 장시간 같은 자세로 앉아 진행하는 경우가 많아 허리, 어깨 등에 통증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 장시간 펼쳐지는 대국이 부르는 ‘근막동통증후군’ 바둑은 경우에 따라 다르지만 짧은 시간에 승부가 결정되는 경기가 드물어 장시간 바둑판 앞에 앉아있게 된다. 더불어 바둑을 두는 동안에는 온 신경을 바둑에 쏟아야한다. 이때 받는 스트레스로 인해 바둑경기가 끝나고 나면 마치 무리한 운동을 한 것처럼 어..

바둑이야기 2017. 10. 10. 16:15

바둑의 고향을 여행하다. (1)

차례 1부. 상박간고(上博簡考) 2부. 박혁은 바둑이다. 3부. 음산암각화 4부. 산해경 음산을 취재하다. 5부. 청동기시대 바둑두러 학교가다. --------------------------------------------- 1부 - 상박간고(上博簡考) (이 글의 1부인 '상박간고는 중국고문자학계의 성과로 나온 각종 논문에서 아직 논의중인 '박혁'에 대한 검토가 있기에 소개합니다. 글쓴이의 주관을 배제하고 최대한 연구자의 논지를 견지하는 입장을 취했습니다. 이 글의 펌과 뜬끔 없는 인용을 불허합니다. 글쓴이의 이름을 제외하고 개인블로그에 올리는 일은 없어야 할 겁니다.) ▲ 죽간의 한 종류 상박간은 상박초간(上博楚簡)으로 불리는 중국상해박물관 소장의 전국시대 초나라 죽간이다. 이 자료는 1994년 홍콩..

바둑이야기 2017. 10. 10. 15:03

멀수록 강해진다

타향에서 강해지는 생존본능 일본기원 프로기사의 성적은 프로기사의 고향과 일본 기원 사이의 거리에 비례한다는 재미있는 보고가 있다. 일본 바둑 프로기사의 고향이 일본 기원과 거리가 멀수록 실력이 강하다는 것이다. 일본기원 프로기사 중 두각을 나타낸 오청원, 임해봉, 조치훈 등 외국기사는 말할 것도 없고 일본에 사는 기사들까지도 거리에 비례하여 실력이 강하다는 것이다. 오청원 씨는 중국인으로 日本의 고수들을 모두 꺾고 일본의 절대강자로 군림하여 現代일본의 신 포석 이론을 정립하여 기성(棋聖)이라 불리고 있다. 바둑기사 조치훈의 일본입성기 한국의 조치훈 씨는 5살 때 일본에 건너가 기다리 도장에서 바둑수업을 받고 11세 때 최연소 입단 기록을 세웠다. 23세 때 명인 타이틀을 차지하였고 기성전 도전국에서 후지..

바둑이야기 2017. 10. 10. 15:01

바둑과 건강

비행기 조종사는 비행기가 불길에 휩싸여도 조종석에 남아 있는 게 더 안전하다고 생각한다 우리의 건강은 육체적인 것과 정신적인 것이 있다. 보통 사람들은 육체적인 건강을 정신적인 건강보다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또 어떤 이는 육체적으로 강건하고 정신적으로 안일함이 가장 좋은 건강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다. 무엇을 열심히 생각만 해도 “아 골치 아프게 무얼 생각하니?”라며 통증이라고까지 여기는 사람도 있다. 육체적인 건강은 운동으로 단련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정신적인 건강도 부단한 정신적인 운동으로 가능하게 된다. 어떤 파출부가 몸이 아파서 병원에 갔다. 의사는 운동부족 때문에 병이 났다고 진단을 했다. 그 파출부는 “나는 매일 몸이 고될 만큼 빨래를 하고 청소를 하는데 웬 운동부족입니까?”라고 물었다. 의사..

바둑이야기 2017. 10. 10. 14:53

바둑의 성격에 관한 고찰1

① 바둑은 최고의 두뇌플레이 게임이다. 바둑 한판을 둘때 똑같은 판은 나올 수가 없다. 그 경우의 수는 365펙토리아, 다시말해 365×364×363×362×361.....×2가 되기 때문에 그 수가 무궁무진하다. 거기에 패까지 감안한다면 상상을 초월한다. 그래서 Computer가 프로기사를 이길 수가 없다. 일본의 장기의 경우는 컴퓨터가 여류자기프로기사를 이긴다고 한다. 서양의 체스 역시 컴퓨터가 프로를 이겼다고 한다. 바둑은 컴퓨터가 프로기사를 이기지 못할 뿐 아니라 5급 정도의 실력자도 이기기가 힘들다. 그러기에 인간이 만든 바둑은 최고의 두뇌플레이 게임이라고 할 수 있다. 그래서 바둑은 우리의 정신건강에 가장 좋은 게임이다. ② 바둑은 가장 Simple한 게임이다. 바둑을 두는 도구는 크기와 모양..

바둑이야기 2017. 10. 10. 14:31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TISTORY
허허실실;虛虛實實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